티스토리 뷰
정부에서는 매월 10만 원씩 저축하면 3년 뒤 최대 1440만 원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청년내일저축계좌를 다시 시작합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청년이 목돈을 마련해 든든하게 사회생활을 출발할 수 있도록 청년내일저축계좌 5월부터 신청을 받는다고 합니다.
청년내일 저축계좌?
2022년도는 이미 모집이 완료된 상태이며, 2023년도에도 역시 시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2022년 289억에서 → 2023년 1,600억 원까지로 확대되고, 지원 인원도 10.4만 명에서 → 17.1만 명으로 확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자격조건
연령·소득기준·가구소득·가구재산 4가지를 모두 총 족한 청년을 지원합니다.
(가입연령) 신청 당시 만 19세~만 34세 청년 단, 수급자·차상위자·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자는 만 15세~만 39세까지 허용
(근로·사업소득)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사업소득이 월 50만 원 초과~월 220만 원 이하
단,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자는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 사업소득이 월 10만 원 이상 발생
(가구소득)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재산) 대도시 3.5억 원, 중소도시 2억 원, 농어촌 1.7억 원 이하
정확한 소득인정액을 알고 싶다면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접수 및 복지로(www.bokjiro.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읍면동주민센터 신청 : 2023. 5. 1.(월) ~ 5. 26.(금)
신청시작 2주간(5.1.~5.12.) 출생일 기준 5부제 적용
복지로 온라인 신청 : 2023. 5. 15.(월) ~ 5. 26.(금)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반드시 청년 본인이 신청 및 통장 개설 필요합니다
지원금 수령액
매월 본인 저축 납입자에 한하여 본인저축액 10만 원 이상(매월 전월 23일~현월 22일 입금마감일 이전) 대비 정부지원금을 정액 매칭합니다.
중위소득 50% 초과~100% 이하 : 10만 원 정액 매칭
중위소득 50% 이하 : 30만 원 정액 매칭
3년간 통장유지, 근로활동 지속, 교육이수,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시 적립금 전액을 지급합니다.
정책대상별 추가지원금(근로소득공제금(생계급여 수급 청년), 탈수급장려금, 내일키움장려금, 내일키움수익금 등) 지급이 가능합니다.
신청서류
신청서류가 많이 있으니 꼭 잘 챙겨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내일 저축계좌 필수안내사항
1 본인 저축 및 지원금 적립
○본인 적금은 전월 23일 ~ 현월 22일(휴일인 경우 익 영업일)에 10만 원 ~ 50만 원을 납입하셔야 합니다.
- 기간 내 적금을 납입하지 않으신 경우 해당 월의 지원금은 적립되지 않습니다.
- 누적 12회 이상 적금을 미납하신 경우 환수해지 되오니, 적금 납입이 어려우신 경우 적립중지 제도를 이용
○근로소득장려금 및 추가지원금은 사업 일정에 맞춰 적립됩니다. 공지사항에서 자산형성지원사업 일정을 확인해 주세요.
- 지자체 예산 부족, 시스템 점검 등의 부득이한 사유로 공지된 일정보다 적립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근로소득장려금은 30만 원 또는 10만 원으로 생성된 후 사업 일정에 맞춰 적립됩니다.
2 근로활동 기준
○청년내일저축계좌 '근로활동 지속'에 대한 기준을 안내드립니다.
(소득 상한) 자산형성포털 > 사업안내 > 사업소개 > 희망·청년내일저축계좌 > 청년내일저축계좌 유지기준 확인
(소득하한) 청년 본인의 근로사업소득 발생
- 소득 상한은 매년 변동되며 가구원 수에 따라 상이하오니, 위의 경로로 접속하셔서 확인해 주세요.
- 차상위 이하 가입자 중 가입당시 생계급여 수급가구의 청년에게 지원되는 근로소득공제금은 청년 본인의 근로사업소득이 10만 원 초과 시 지급됩니다.
- 지자체 사회보장급여 확인조사 시 가입자가 근로활동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 환수해지 되오니, 지속적인 근로활동이 어려우신 경우 적립중지 제도를 이용해 주세요!
적립중지란?
실직, 본인 및 부양가족의 질병/사고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사업 참여기간(3년) 중 총 6개월간 적립중지 신청 가능(사전신청, 중지기간 중 지원금 미지원) 관리 지역으로 신청서 제출
3 교육이수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기간(3년) 동안 시기에 관계없이 총 10시간(600분) 이수하셔야 합니다.
자산형성포털 > 회원가입> MY서비스 > 교육관리 > 필수교육에서 확인되는 교육 중 원하시는 교육으로 이수해 주세요.
이수 완료한 교육은 수강완료일자의 다음 날 자산형성포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자산형성포털
희망저축계좌 및 청년내일저축계좌 통장사업으로 정부가 자산형성을 지원합니다
hope.welfareinfo.or.kr
4 자금사용계획서
자금사용계획서는 해지 금액 확인 후 해지 신청 시에 온라인(자산형성포털*) 또는 오프라인(시군구)으로 제출하셔야 합니다.
- 자금사용계획서 서식은 자산형성포털 > 알림 소식 > 자료실 > [사업서식]2023년 자산형성지원사업(신규) 서식 > [서식 8] 자산형성지원사업 자금사용계획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해지 신청 기능은 추후 오픈 예정
청년 월세 지원조건 신청방법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층의 주거비부담경감을 위해 청년월세를 한시적으로 지원 1년간 240만 원을 해주고 있다 2023년 8월까지 신청 가능 하기 때문에 빨리 신청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
c.kjd614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