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울시에서는 "희망 두 배 청년통장"이라는 자산형성 지원 프로그램의 2023년도 신규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일하는 청년들이 월 10만 원 또는 15만 원을 2년 또는 3년간 저축하면, 자신이 저축한 금액과 동일한 금액을 서울시와 시민의 후원금으로 적립 및 지원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우선 자격조건확인하시고 혜택 꼭 받아 보시기를 바랍니다
서울시 희망 두 배 청년통장지원내용
구분 | 비고 | |||
본인저축액 | 10만원 | 15만원 | 매월 적립한 경우 이자 별도 |
|
매칭지원액 | 10만원 | 15만원 | ||
총적립금 | 2년 | 480만원 | 720만원 | |
3년 | 720만원 | 1,080만원 |
서울시 희망 두 배 청년통장 신청자격
●서울시 거주자 (주민등록번호 부여자에 한정, 재외국인은 신청 불가)
●만 18세부터 만 34세까지의 청년 (출생년월일이 1988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근로 중이거나 공고일 이전 1년간 (2022년 5월 22일부터 2023년 5월 21일까지) 3개월 이상 근로 이력이 있는 자 (근로 종류에 제한은 없으며, 증빙서류를 제출할 수 있어야 함)
●본인의 소득이 세전 월평균 255만 원 이하인 자 (2022년 6월 1일부터 2023년 5월 31일까지의 소득 기준)
●부양의무자(부·모 또는 결혼한 경우 배우자) 소득이 연 1억 원 미만이고 재산이 9억 원 미만인 자
서울시 희망 두 배 청년통장 신청방법
●신청방법 : 주소지 동주민센터 방문, 우편, 이메일(동주민센터 담당) 접수
- [방문] 근무일 중 09:00~18:00 접수분
- [우편] 접수마감을 18:00까지 동주민센터 도착분
- [이메일] 접수마감일 18:00까지 동주민센터 담당자 메일함 도착분에 한해 접수
*이메일 제출은 반드시 사전에 주소지 동주민센터로 문의
●모집인원 : 총 10,000명
합계 | 종로 | 중 | 용산 | 성동 | 광진 | 동대문 | 중랑 | 성북 | 강북 | 도봉 | 노원 | 은평 |
10,000 | 199 | 187 | 258 | 301 | 430 | 396 | 447 | 441 | 367 | 340 | 485 | 489 |
서대문 | 마포 | 양천 | 강서 | 구로 | 금천 | 영등포 | 동작 | 관악 | 서초 | 강남 | 송파 | 강동 |
360 | 400 | 394 | 592 | 415 | 341 | 408 | 441 | 652 | 306 | 395 | 517 | 439 |
서울시 희망 두 배 청년통장 신청기간
2023. 6. 12.(월)~6. 23.(금) 18:00 ※신청기간 외 접수 불가
서울시 희망 두 배 청년통장 필수서류
① 가입신청서
② 개인정보제공동의서:본인
③ 사회보장급여신청(변경)서
④ 금융정보제공동의서:본인
⑤ 주민등록초본:과거의 주소 변동사항 전체[선택발급 불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포함
⑥ 가족관계증명서(일반):일반출력
⑦ 근로 확인 서류 ※ 붙임 2 중 택 1 제출
서울시 희망 두 배 청년통장 선발방법
1차 심사 합격자에 한해 2차 심사가 진행되며, 최종 선발자 명단은 심사 결과에 따라 결정됩니다. 선발자에게는 개별 안내가 이메일 또는 우편으로 발송되며, 선택된 참여자는 안내에 따라 본인 확인과 필요한 서류 제출을 완료해야 합니다
최종 참여대상자 선발
● 최종대상자 발표 : 2023. 10. 13.(금) 예정 ※ 발표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선발결과는 신청자가 직접 확인 서울시복지재단 홈페이지(https://www.welfare.seoul.kr)
및 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 신청자의 성명, 생년월일,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조회
● 온라인 약정(저축 약속) 참여:2023. 10. 13.(금) ~ 10. 27.(금) 순차적으로 안내
※ SNS, 문자를 통한 전자서명으로 진행(휴대전화 없는 경우 서울시복지재단 별도 안내 예정)
- 선발자 발표 후 2주 이내에 약정(저축 약속) 체결 미완료 시 포기로 간주
- 약정 포기자 등 발생으로 자치구별 모집 정원 미달 시 부족 인원만큼 예비대상자 중에서 고득점순으로 추가 선발
● 약정 주요 내용:저축 이행(매칭 지원액을 지급받기 위한 조건) 계약
- 약정기간 내 서울시 거주(주민등록 유지)
- 약정기간의 50% 이상 월 1회 저축
- 약정기간의 50% 이상 근로 유지
- 연 1회 이상 금융교육 이수
희망두배 청년통장 중복 가입 가능 사업 안내
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
희망두배 청년통장, 꿈나래통장, 이룸통장
account.welfare.seoul.kr
희망두배 청년통장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의 자산형성을 지원하고 경제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에 관심이 있다면 신청 기간 내에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 좋은 결과 있기를 바라겠습니다!